12월에 안먹으면 손해 제철음식13 존재감 없는 생강이 얼마나 효능을 꽁꽁 숨기고 있는지 아시나요? 생강효능 존재감 없는 생강이 얼마나 효능을 꽁꽁 숨기고 있는지 아시나요? 가을부터 수확을시작해 겨울에 제철을 맞는 생강은 알싸하게 톡 쏘는 맛이 일품이고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높습니다. 그리고 마늘과 함께 우리나라 음식에서 빠지지 않는 식재료 이지요? 하지만 왠지 마늘보다 홀대받아온 느낌이 드는데요 존재감 없는 생강이 얼마나 훌륭한 식재인지 한번 보시겠어요?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생강 입니다. 1.생강은? 특유의 알싸한 매운맛과 강렬한 향을 가진 생강은 감기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해 주로 따뜻한 차로 만들어 마시곤 합니다. 그만큼 생강은 예로부터 약으로서의 기능도 뛰어나다고 평가 받아서 약용과 식용으로 두루 사용되었습니다. 식용으로는 김치등 각종 양념류에 사용되고, 고기와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는데도 자주 사용.. 2022. 12. 4. 곶감이 맛이 깊어 지는 계절 겨울 입니다. 곶감이 맛있 깊어 지는 계절 겨울 입니다. 김태리 배우 주연의 영화 리틀 포레스트를 보면 가을에 말려둔 감이 겨울이 깊어질수록 겉이 쫀득 꾸덕하게 말르면서 먹음직 스러워 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곶감은 깊어지는 겨울을 대표하는 영양간식 이지요? 추운겨울 한입 가득 물면 싫지 않은 달달함이 기분을 좋게하는 곶감 입니다. 1. 곶감은? 쫀득쫀득하고 달콤한 맛이 일품인 곶감은 겨울철 간식이자 제사나 명절 차례산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우리나라 전통식품 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수분이 많아 썩기 쉬운 감을 오래 두고 먹기 위해 껍질을 깎고 꼬챙이에 꽂아서 햇빛과 바람에 말려 먹기 시작했습니다. 곶감의 맛이 가장 좋을때는 겉껍질의 쫀득한 식감과 부드러운 속이 씹히는 지금의 곶감 입니다. , 에서는 곶감이 기침과.. 2022. 12. 3. 12월에 꼭 먹어야 하는 제철맞은 영양소 뿜뿜 식재료 와 쉽고 맛있는 레시피. 2022도 마지막 달이 오긴 왔습니다. 올 한해 건강하게 잘 보내셨나요? 마지막 남은 12월 도 우리 몸을 위해서 건강하고 맛있게 먹어 보아요. 12월에 꼭 먹어야 하는 제철맞은 식재료를 알려 드릴께요. 이걸 한꺼번에 다 먹는 것은 불가능 하지요? 일주일에 2가지씩 챙겨먹는다고 생각하시고 식재료 리스트를 체크해 보세요. 1. 위를 튼튼하게 해주는 겨울 "양배추" 겨울양배추는 속이 꽉차서 묵직한 것이 특징 입니다. 달큰하고 아삭한 식감이 살이있는 겨울 양배추는 비타민C, 칼륨, 칼슘, 식이섬유가 풍부한 겨울철 비타민의 보고 입니다. 큰 통 하나 사면 여러가지 조리법으로 질리지 않게 섭취 할 수 있는 양배추는 찜, 볶음, 무침, 생채로 먹을 수 있는 버릴 거 하나없는 귀중한 식재료 입니다. ** 야채 싫어하.. 2022. 12.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